정보 / / 2025. 7. 22. 09:25

스톡이란 무엇일까? 이미지 판매 스톡작가 입문 및 국내 스톡사이트 소개

반응형

목차

  • 스톡(Stock)이란 무엇인가요?
  • 스톡작가의 역할과 수익 구조
  • 국내 스톡사이트 소개: 미리캔버스, 툴디 등
  • 이미지 올리는 방법 및 툴 비교
  • 스톡작가 시작 전 준비사항
  • 스톡 이미지 전략: 키워드와 니치 설정
  • 초보 스톡작가를 위한 팁 정리

 

요즘 자료 준비하려다 보니 “스톡 이미지”라는 말 많이 보이시죠? 저도 처음엔 그냥 사진 구매 사이트인 줄 알았어요.

그런데 알아보니, 스톡이란 사진·일러스트를 판매하는 시장이고, 스톡작가라는 직업도 있더라고요.

오늘은 국내 스톡사이트 미리캔버스, 툴디를 중심으로,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봤습니다.

 

 

 

1. 스톡(Stock)이란 무엇인가요?

스톡(Stock) 이미지란, 다양한 목적의 디자인·마케팅에 사용하려고 미리 찍어둔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말합니다.
디자이너, 블로거, 기업 등은 구매 또는 구독 방식으로 이미지를 가져다 쓰고,

스톡작가는 자신의 이미지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수익을 받습니다.
이 구조 덕분에, 한 번 올린 이미지가 계속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게 큰 매력이죠.


2. 스톡작가의 역할과 수익 구조

스톡작가는 스톡사이트에 이미지를 등록하고, 키워드나 카테고리를 설정하며 관리합니다.
수익은 보통 판매량 기반 로열티로 책정되며, 사이트별로 20~70% 커미션 차이가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미리캔버스나 툴디 같은 국내 스톡사이트는 국내 사용자 기반 로열티가 강하고,
글로벌 플랫폼(ex. Shutterstock, Adobe Stock)은 외화 수익이 가능하죠.


3. 국내 스톡사이트 소개: 미리캔버스, 툴디 외에 어떤 곳이 있을까?

  1. 미리캔버스 (www.miricanvas.com)
  • 대표적인 국내 디자인 플랫폼, 한글 기반 디자인과 콘텐츠 수요 많음
  • 사진, 일러스트, 아이콘, 폰트 등 다채로운 콘텐츠 등록 가능
  1. 툴디 (www.toold.co.kr)
  • 프리랜서 디자이너 플랫폼, 템플릿 기반 디자인 판매 및 이미지 등록
  • 비교적 수익률이 높고, 수수료가 투명함
  1. 크라우드픽 (www.crowdpic.net)
  • 국내외 사용자 대상 이미지 판매 가능
  • 글로벌 스톡사이트 구조와 유사하며, 로열티 수익 기반
  1. 픽사클라우드 (www.pixacloud.com)
  • 기업용 콘텐츠 중심의 스톡 플랫폼
  • B2B 클라이언트가 많아 단가가 높은 편
  1. 셀픽 (www.selfpick.co.kr)
  • 자체 제작 사진 콘텐츠 등록 가능
  • SNS 콘텐츠 마케팅을 위한 이미지 수요가 높음

각 사이트마다 수익 정산 구조, 키워드 관리, 심사 기준이 다르므로, 초반엔 2~3곳을 비교 사용해보시는 걸 권장드립니다.

(스톡 작가가 처음이신분들은 툴디, 미리캔버스 위주로 활동 후 사이트를 확장하는걸 추천)

  • 국내에서도 스톡작가로 활동할 수 있는 사이트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. 단순히 “미리캔버스”만 떠올리기 쉽지만, 위와 같은 플랫폼들도 콘텐츠 등록 및 수익화가 가능합니다.

4. 이미지 올리는 방법 및 툴 비교

이미지 업로드 전 다음 과정을 거칩니다.

  • 촬영 또는 일러스트 제작: 고해상도, 상업적 사용 가능한 저작권 구분
  • 메타데이터 삽입: 이미지 설명과 키워드 등록
  • 미리캔버스에서는 요소, 이미지, 한글 폰트 포함 콘텐츠도 등록 가능하고
  • 툴디템플릿 기반 라이브러리 시스템에 쉽게 추가할 수 있어 실속이 좋습니다.

두 툴 모두 드롭박스나 구글 드라이브 연동 기능을 지원하며, 미리캔버스는 월 구독으로 이미지 무제한 다운로드 가능, 툴디는 개별 판매 중심입니다.


5. 스톡작가 시작 전 준비사항

  • 카메라 또는 고해상도 스마트폰 준비
  • 이미지 편집 툴: 라이트룸, 포토샵, 툴디 내장 편집 기능
  • 저작권 확인: 인물, 상표, 건물 사진 사용 시 동의서 필요
  • 키워드 리스트 준비: “business, Korean food, 한강, 사무실”처럼 영·한 복합 키워드
  • 세금 관련 및 계좌 준비: 국내 사이트는 원천징수, 해외 플랫폼은 외화 송금 고려

6. 스톡 이미지 전략: 키워드 설정

  • 검색량 많은 키워드(Ex: business,meeting,food)보다 중간·소규모 수요의 키워드(Ex: 한강 야경,한국 전통차,제주 돌담)는 경쟁이 덜합니다.
  • 미리캔버스 및 툴디와 같은 국내 플랫폼은 한글 키워드 포함 시 유리합니다.

7. 초보 스톡작가를 위한 팁 정리

  • 먼저 무료 사이트에서 고퀄 이미지 참고 후 스타일 분석
  • 주제별 연작 시리즈 만들면, 한번 올라간 이미지가 묶어서 수익 발생
  • 정기적으로 신규 콘텐츠 등록: 꾸준한 업로드가 알고리즘 반응을 부릅니다
  • 통계 확인: 다운로드량·조회수 확인 후 잘 나가는 테마에 집중
  • 커뮤니티 참여: 스톡작가 모임, 온라인 카페에서 피드백 받기

스톡이란 단순한 사진 판매가 아니라, 이미지로 꾸준한 수익을 만드는 구조예요.

국내 스톡사이트를 잘 활용하면 진입장벽도 낮고 한국 콘텐츠에 맞춰 수익화가 쉬우며,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께는 하나씩 실습하며 작가로서의 감각을 세우는 과정이 중요합니다.

다음 게시글은 스톡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스톡작가 도전, 오늘부터 한 장씩 시작해보시면 어떨까요?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